3.8세계여성의날 유래와 역사
작성자 정보
- 여성국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95 조회
-
목록
본문
3.8 세계 여성대회
①유래
1908년 3월 8일. 미국 방직공장 여성노동자 1만 5천여명은 뉴욕 롯저스광장에
모여 ‘노조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라’‘임금을 인상하라’‘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달라’‘10시간 노동보장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라’라고 외치며 무장한 군대에
맞서 싸웠다. 이 투쟁은 트라이 앵글이라는 피복회사의 여성노동자 146명이
불에 타 죽은 참혹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일어났다
2년 뒤인 191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 모인 세계 진보적인 여성 노동자들은 여성
운동가대회를 열고 독일의 여성 운동가이자 노동 운동가인 클라라 체트킨의 제안에
따라 ‘미국 섬유노동운동의 기폭제가 된 3월 8일 시위를 매년 세계여성의 날로
기념할 것’을 결정했다. 이 날은 전 세게 여성들이 함께 투쟁하고 연대하는 날이
며, 이를 계기로 각국에서 여성들의 지위향상과 남녀차별 철폐, 여성빈곤 타파 등
여성운동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더욱이 3.8 세계여성의 날은 97년전 여성의 정치적 권리, 인권 그리고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위해 싸운 여성 노동자의 손으로 쟁취한 것이기에 오늘 우리 노동자
에게 더 큰 의의를 가진다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달라! 노조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라
②역사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후반 일제하에서 기념대회를 개최하였으나, 일제의
모진 탄압은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러다 1946년, 제 47주년 여성해방주간이 선포
되면서 대회와 기념식이 부활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2년을 넘기지 못하고 중단
되었다
3.8 기념행사가 새롭게 시작된 것은 1985년 여성단체들이 연대하여 개최한 제1회
한국여성대회였다. 이 대회를 시작으로 2004년 성매매방지법 제정, 호주제 폐지,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요구하는 한국여성대회까지 18년간 한국여성단체연합을 비롯
한 제 여성단체 주최로 한국여성대회가 열렸다
올 2005년은 민주노총 출범 10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그 동안 여성 노동자의 변화
와 성과를 평가하고 여성 노동자의 노동권. 모성권을 포함한 성평등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는 해이다. 우리 여성 노동자는 이제 세상을 향해 날아야한다.
여성 노동자의 이름으로 빈곤과 차별을 깨고 평등과 통일의 세상으로 힘차게 날아야
한다
한국의 여성노동자
① 여성노동자의 권리찾기 → 노동조건의 발전, 시대의 변화
여성노동자는 보다 열악한 처지에 있어 이러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권리를
찾으려는 여성노동자의 움직임은 한국의 노동조건을 바꾸어내고 시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역사적 힘이 되어왔다. 현재도 수많은 계약직, 파견직, 일용직 노동자의
비정규직 비율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다. 이러한 비정규직 여성들의 노동권보호,
노동조건 개선, 인권실현의 움직임은 그대로 한국의 노동조건을 바꾸어 내는 역사가
될 것이다.
② 시대를 개척한, 역사를 바꾼 여성노동자들과 그 사건
YH무역사건 : 유신독재체제를 무너뜨린 200명 여성노동자
1979년 8월 9일부터 11일까지 당시 최대 가발공장이었던 YH무역의 여성노동자
200여명이 회사 측의 부당한 폐업에 반대해 마포구 신민당사에서 회사 운영의
정상화와 노동자들의 생존권요구를 주장하며 벌인 농성 투쟁 사건을 말한다.
8월 11일 새벽 2시 1,000여 명의 경찰이 신민당사에 난입해 폭력을 휘두르며
노동자들을 강제 연행하고, 취재하던 기자 및 신민당 소속 국회의원·당원들에게도
무차별 폭력을 행사하였고 이로 인해 노조 집행위원장인 김경숙이 사망하고, 경찰을
제지하던 172명의 여성노동자와 신민당 당원 26명이 강제 연행되었다. 사건 직후
폭력 진압과 강제 연행에 반대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이 사건의 여파는
계속 확대되어 반유신 연대투쟁을 촉발하는 등 1970년대 말 한국 노동운동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여성노동자 최순영은 제17대 민주노동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구로동맹파업 : 역사적인 동맹파업의 주역인 여성노동자
구로1공단에 있는 대우어패럴 노조의 간부연행에 대항하여 1985년 6월 24일
대우어패럴 파업농성을 시작으로 효성물산·가리봉전자·선일섬유 노조가 파업농성을
시작한 것으로 6․25전쟁이후 최초의 동맹파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동맹파업은 6월29일, 물도 끊기고 전기도 끊긴 상태에서 닷새 동안 굶주리며
버티던 대우어패럴 노동자들이 벽을 뚫고 진입한 관리자와 구사대들에 의해 강제
해산당하며 끝이 났다. 당시 대우어패럴은 84년 36억원의 흑자를 냈음에도 생산직
월평균 기본급은 7만2천원에 불과하였다. 이에 결성된 노조에 대한 간부연행에
대하여 이는 단지 한 회사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동맹파업으로 이어졌다.
즉, 역사적인 동맹파업은 여성노동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①유래
1908년 3월 8일. 미국 방직공장 여성노동자 1만 5천여명은 뉴욕 롯저스광장에
모여 ‘노조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라’‘임금을 인상하라’‘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달라’‘10시간 노동보장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라’라고 외치며 무장한 군대에
맞서 싸웠다. 이 투쟁은 트라이 앵글이라는 피복회사의 여성노동자 146명이
불에 타 죽은 참혹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일어났다
2년 뒤인 191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 모인 세계 진보적인 여성 노동자들은 여성
운동가대회를 열고 독일의 여성 운동가이자 노동 운동가인 클라라 체트킨의 제안에
따라 ‘미국 섬유노동운동의 기폭제가 된 3월 8일 시위를 매년 세계여성의 날로
기념할 것’을 결정했다. 이 날은 전 세게 여성들이 함께 투쟁하고 연대하는 날이
며, 이를 계기로 각국에서 여성들의 지위향상과 남녀차별 철폐, 여성빈곤 타파 등
여성운동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더욱이 3.8 세계여성의 날은 97년전 여성의 정치적 권리, 인권 그리고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위해 싸운 여성 노동자의 손으로 쟁취한 것이기에 오늘 우리 노동자
에게 더 큰 의의를 가진다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달라! 노조결성의 자유를 보장하라
②역사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후반 일제하에서 기념대회를 개최하였으나, 일제의
모진 탄압은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러다 1946년, 제 47주년 여성해방주간이 선포
되면서 대회와 기념식이 부활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2년을 넘기지 못하고 중단
되었다
3.8 기념행사가 새롭게 시작된 것은 1985년 여성단체들이 연대하여 개최한 제1회
한국여성대회였다. 이 대회를 시작으로 2004년 성매매방지법 제정, 호주제 폐지,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요구하는 한국여성대회까지 18년간 한국여성단체연합을 비롯
한 제 여성단체 주최로 한국여성대회가 열렸다
올 2005년은 민주노총 출범 10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그 동안 여성 노동자의 변화
와 성과를 평가하고 여성 노동자의 노동권. 모성권을 포함한 성평등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는 해이다. 우리 여성 노동자는 이제 세상을 향해 날아야한다.
여성 노동자의 이름으로 빈곤과 차별을 깨고 평등과 통일의 세상으로 힘차게 날아야
한다
한국의 여성노동자
① 여성노동자의 권리찾기 → 노동조건의 발전, 시대의 변화
여성노동자는 보다 열악한 처지에 있어 이러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권리를
찾으려는 여성노동자의 움직임은 한국의 노동조건을 바꾸어내고 시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역사적 힘이 되어왔다. 현재도 수많은 계약직, 파견직, 일용직 노동자의
비정규직 비율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다. 이러한 비정규직 여성들의 노동권보호,
노동조건 개선, 인권실현의 움직임은 그대로 한국의 노동조건을 바꾸어 내는 역사가
될 것이다.
② 시대를 개척한, 역사를 바꾼 여성노동자들과 그 사건
YH무역사건 : 유신독재체제를 무너뜨린 200명 여성노동자
1979년 8월 9일부터 11일까지 당시 최대 가발공장이었던 YH무역의 여성노동자
200여명이 회사 측의 부당한 폐업에 반대해 마포구 신민당사에서 회사 운영의
정상화와 노동자들의 생존권요구를 주장하며 벌인 농성 투쟁 사건을 말한다.
8월 11일 새벽 2시 1,000여 명의 경찰이 신민당사에 난입해 폭력을 휘두르며
노동자들을 강제 연행하고, 취재하던 기자 및 신민당 소속 국회의원·당원들에게도
무차별 폭력을 행사하였고 이로 인해 노조 집행위원장인 김경숙이 사망하고, 경찰을
제지하던 172명의 여성노동자와 신민당 당원 26명이 강제 연행되었다. 사건 직후
폭력 진압과 강제 연행에 반대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이 사건의 여파는
계속 확대되어 반유신 연대투쟁을 촉발하는 등 1970년대 말 한국 노동운동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당시 여성노동자 최순영은 제17대 민주노동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구로동맹파업 : 역사적인 동맹파업의 주역인 여성노동자
구로1공단에 있는 대우어패럴 노조의 간부연행에 대항하여 1985년 6월 24일
대우어패럴 파업농성을 시작으로 효성물산·가리봉전자·선일섬유 노조가 파업농성을
시작한 것으로 6․25전쟁이후 최초의 동맹파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동맹파업은 6월29일, 물도 끊기고 전기도 끊긴 상태에서 닷새 동안 굶주리며
버티던 대우어패럴 노동자들이 벽을 뚫고 진입한 관리자와 구사대들에 의해 강제
해산당하며 끝이 났다. 당시 대우어패럴은 84년 36억원의 흑자를 냈음에도 생산직
월평균 기본급은 7만2천원에 불과하였다. 이에 결성된 노조에 대한 간부연행에
대하여 이는 단지 한 회사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동맹파업으로 이어졌다.
즉, 역사적인 동맹파업은 여성노동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관련자료
-
첨부등록일 2008.02.26 10:31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